오늘은 최근 닥터 차정숙을 통해 검색어 순위에 뜨고 있는 크론병에 대해 알아볼게요
크론병의 원인은 무엇인고 어떤 증상을 보이는 것일까요? 크론병의 치료방법과 식단관리까지 크론병을
총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크론병이란?
2. 크론병의 증상은?
3. 크론병의 원인
4. 크론병의 치료방법
5. 크론병 관리 & 예방
1. 크론병이란?
서울 아산병원의 질환백과에 따르면 크론병은 소화기관 전체에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이라고 정의하였어요. 소화기관이라고 하면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는 입에서부터 배설을 하는 항문까지를 이야기하는데요. 이 만성 염증성 장질환은 주로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회맹부에서 많이 발병하고, 그 외에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에서도 발생을 합니다. 이 크론병은 몸의 면역체계가 유해한 박테리아에 유독 지나치게 반응할 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크론병은 국한성 창자염, 염증성 장질환, 육아종성 대장염, 크론씨병이라고도 불립니다. 영어로는 Crohn disease라고 하네요
2. 크론병 증상은?
크론병 증상은 사람에 따라서 다양하게 발병되는데요. 대부분의 크론병의 증상은 주로 하복부의 복통이 굉장히 심해서 꼭 아기를 낳는 느낌이 들 정도로 배의 고통이 굉장하다고 하네요. 복통과 함께 설사를 동반하는 증상을 보이곤 하는데요.
설사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식사를 잘못했을 때 나타나는 설사와 유사하다고 해요. (배변에서 다른 증상은 보이지 않음)
크론병은 설사가 지속적으로 패턴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크론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체중감소가 현저히 두드러지고, 오심, 구토, 발열, 밤에 땀을 흘리는 증상, 식욕감퇴, 근육량감소, 직장 출혈등이 나타난다고 해요.
입안점막, 식도, 위막에는 염증이 발생하고 백혈구 수치도 증가한다고 하네요.
3. 크론병 원인은?
크론병은 주로 유럽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이었는데요. 최근에 국내에서도 크론병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어요.
국내의 경우 주로 20-30대 환자들이 많은데, 아무래도 외식의 빈도수가 늘어나고 한식보다는 서구식 식사(기름진 음식, 빵, 고기류의 빈번한 섭취)가 증가하면서 크론병 환자들이 늘고 있는 게 아닌가라는 의견들이 있다고 해요.
그 외에 유전인자, 항생제 남용, 흡연, 약물, 스트레스등 여러 가지 사회적 환경적인 요인들로 인한 면역체계의 약화가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네요.
크론병은 유전병이다?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많이 의견들이 있는데요. 유전적인 영향이 더 커다란 의견과 크론병은 유전이 아닌 환경적인 원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것이다라는 의견등 크론병의 원인에 대한 의견들이 다양합니다. 하지만, 크론병이 유전병이다 아니다에 대해서는 여전히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4. 크론병 치료방법
크론병을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치료약과 치료요법은 아직까지 없다고 해요.
하지만 개인의 면역력을 높이는 노력을 통해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환자의 일상생활이 좀 더 좋아질 수 있기 때문에,
면역력을 높이는 치료를 권장한다고 하네요.
약물치료: 개인의 증상에 따라 항염증제(설파살라진/메살라민),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조절제(아자치오프린, 퓨리네톨), 항생제(메트로니다졸, 시프로플로사신)등의 약물치료를 할 수 있어요.
5. 크론병 관리 & 예방
크론병은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한데요. 크론병 자체가 증상이 좋아졌다가 나빠졌다가를 반복하ㄴ기 때문에, 치료는 꾸준히 받는 것을 권장한다고 해요.
뿐만 아니라 자극적인 음식, 술, 탄산음료, 흡연등을 피함으로써 크론병 예방에 힘쓸 수 있다고 합니다.
(크론병에 관련하여 참고하면 좋은 사이트)
계속되는 복통과 설사.. 젊은이의 병 '크론병' | 명지병원 소화기센터 (mjh.or.kr)
크론병
젊은 층에서도 발생이 증가하고 이고,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으로 알려진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mjh.or.kr
“크론병은 왜 치료가 어려운가” - 헬스코리아뉴스 (hkn24.com)
“크론병은 왜 치료가 어려운가” - 헬스코리아뉴스
[헬스코리아뉴스 / 임해리] 크론병은 특별한 원인이 없이 입부터 항문까지 모든 소화기관에 만성적 반복적 염증과 궤양이 나타나는 난치성 질환으로, 20~30대가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www.hkn24.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