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8일 질병청에서는 국내에 6번째 엠폭스,엠팍스(원숭이 두창 바이러스)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환자는 해외 여행 기록이 없다고 하네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잠잠해지는 가 싶더니, 다시 엠폭스가 우리를 걱정시키네요.
그럼 오늘은 엠폭스가 무엇인지?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지? 어떻게 예방해야하는지 함께 알아보죠!
엠폭스(원숭이 두창 바이러스)는 무엇일까요?
원숭이 두창이라고 불리는 바이러스로서, 급성 발진성 감염병입니다
2022년 11월 까지는 원숭이 두창이라는 명칭을 가졌으나, 2022년 11월 이후 세계 보건기구(WHO)에서 엠폭스(Mpox)로 이름을 변경하였습니다.
천연두 바이러스의 사촌이라고 알려져 있는 천연두와 비슷한 바이러스로 1958년 덴마크에서 백신 연구를 위해 기르던 필리핀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이후 1970년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인체 감염의 사례가 처음 보고 되었습니다
엠폭스 위험 국가는 어디인가요?
카메룬,중앙아프리카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 가봉, 코트디부아르,라이베리아,나이지리아,콩고,세어라리온
남수단,베넹,가나등의 중앙 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 국가
엠폭스의 초기 증상은 어떻게 되나요?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림프절 염증 또는 부종, 기침,인후통, 코막힘 의 증상이 먼저 발현됩니다. 이후에는 피부 발진이 동반되고 피로함을 느끼게 됩니다
발진은 얼굴 외에도 손,발,가슴,항문등에서 보여지게 됩니다
약 6-13일의 잠복기를 갖게 되고, 감염 후 최대 21일동안 몸에 열이나고, 근육과 머리가 아픈 현상이 나타납니다.
엠폭스의 초기 증상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증상이 발열되면, 가까운 감염내과, 피부과에 방문하는 걸 추천 드립니다.
병원에서 바이러스 테스트를 통해 확진 여부를 파악합니다
(피부병변조직,가피,혈액,구인두도말등에서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를 검출하는 유전자가 진행됩니다)
엠폭스(원숭이 두창) 어떻게 전염되나요?
엠폭스는 직접 접촉시 퍼지게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피부 뿐만 아니라, 피, 점액등의 체액을 통하거나 호흡기를 통해서도 접촉 될 수 있습니다
엠폭스를 막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엠폭스(원숭이 두창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우리 국민 모두가 노력해야하는데요.
엠폭스 발생 국가 방문력이나 의심 환자 밀접 접촉등이 있을 경우 질병청 콜센터(#1339)로 전화해서 알려야 해요.
또한 엠폭스바이러스에 노출되는 환경이 놓여있는 사람들(특히 아프리카 설치류 산업 종사자)는 천연두 백신을 접종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댓글